본문 바로가기

주식 투자/공부

유상감자, 무상감자 :: 감자를 하는 이유, 효과, 주가 영향

저번에 증자에 대해 알아봤으니 감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주식투자를 하면서 보유 종목이 감자를 했던 경우가 없어 실제 경험했던 유상증자나 무상증자보다는 낯선 단어인데 증자에 대해 알아본 김에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감자


1. 의미와 목적 


증자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기업이 자본을 감소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자본은 납입자본금과 잉여금으로 구성되는데 기업 영업상황이 좋지 않아 이익잉여금을 다 소진하고 납입 자본금까지 줄어들고 있는 상태를 자본잠식이라 합니다. 이런 자본잠식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감자가 이루어지기도 하며 회사 분할이나 합병, 투자 유치 등을 위해서도 실시됩니다. 주식 액면가의 감액, 주식 소각, 주식 병합 등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액면가의 감액의 경우 주식수에 변화가 없으니 주가에 변화가 없으나 병합, 소각등의 방법으로 주식수가 변하게 된다면 감자비율에 따라 주가를 다시 산정하게 됩니다. 


2. 유상감자 무상감사


감자방식에는 보상이 이루어지는 유상감자와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무상감자가 있습니다. 액면가의 감액이나 주식의 소각이 보상을 해준다면 유상감자, 액면가의 감액이나 주식의 병합, 주식의 소각시 보상이 없다면 무상감자입니다. 


유상감자는 기업의 규모에 비해 자본금이 크다고 판단하거나 주주들에게 기업 자본을 환원하려 할때 실시됩니다. 주주들에게 보상을 통해 주식을 다시 사들여 소각하는 것으로 회사 자산과 함께 자본이 같이 줄어들어 실질적 감자라고 합니다. 이때 액면가 이상으로 프리미엄을 붙여 산다면 회사는 감자차손이 발생하게 됩니다. 반대로 액면가 이하로 사들이게 된다면 회사는 감자차익이 발생하게 됩니다. 


무상증자는 감자의 과정에서 주주에게 아무런 보상을 해주지 않아 회사의 자산은 변하지 않고 자본금만 변동이 생기기 때문에 형식적 감자라 부릅니다. 이러한 형식적 감자는 보통 자본잠식 상태에 빠진 기업이 잠식본을 보전하기 위해 이루어집니다. 기업액면가 500원 주식수 200만주, 자본금 10억원인 회사가 적자를 내 자본잠식상태에 빠져 자본금이 5억원밖에 남지 않았다고 가정할때 2:1 비율로 50% 감자를 하면 액면가 500원, 주식수 100만주, 자본금 5억원이 되어 실제 자본금과 같아집니다. 즉 자본잠식상태에서 벗어나게 됩니다. 


3. 영향


감자가 이루어진다고 해서 회사의 가치가 변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무상감자가 주로 자본금이 잠식되었을때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장에서는 부정적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상감자의 경우 보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때에 따라 호재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기업의 자본이 줄어드는 것이기 때문에 감자의 목적과 이유를 잘 파악해서 판단하는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후기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무상감자를 실시하는 이유는 와닿는데 유상감자의 경우 사례를 좀 더 찾아봐야 할 것 같습니다. 회사의 분할이나 합병을 위함이라고 하는데 사례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